Dopamine 도파민 / 동기부여호르몬
도파민은 운동기능 동기부여 뇌하수체 호르몬 조절역할을 해주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뇌에서 도파민이 너무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적게 분비되면 ADHD나 우울증 조현병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또한 내가 무엇을하고싶거나 도전하고 싶을 때 하고 싶다는 의욕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 도파민이고 그 일을 해내고 성취감을 느끼는 과정도 도파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도파민 수용체가 낮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나 행위
1. 무기력하다.
2. 한탕주의에 눈이 멀어있다. ex) 코인, 주식, 도박으로 인생한방
3. 무언가를 새로 시작할 때 빨리 지루함을 느낀다.
4. 대인기피증이 생긴다.
5. 강박증이 생긴다.
6. 약물중독을 유발할 수도 있다.
7. 음란물 중독.
8. 인지기능과 집중력이 떨어진다. ex) 브레인포그
9. 식욕을 주체할 수 없게 된다.
10. 유튜브 쇼츠나 틱톡 같은 짧은 영상을 즐겨본다.
도파민 수용체를 회복하기 위해서 해야 할 것들 그리고 마주치게 될 플랫라인
이러한 현상들은 도파민 수용체가 낮을 때 생기는 증상들인데 인간은 항상성을 위해 도파민이 과잉공급 됐을 때 낮아지는 것이 도파민 수용체입니다. 또 다행인 점은 뇌 가소성을 이용해서 다시 도파민 수용체밀도를 높게 할 수도 있습니다. 수용체 밀도를 높게 하기 위해 도파민 공급을 줄여야 하는데 공급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인터넷 서핑이나 Sns, 커뮤니티 이용시간을 줄인다.
2. 음란물을 보지 않는다.
3. 온라인 게임이용시간을 줄인다.
4. 중독되었다고 생각하는 무언가의 행동이나 행위를 줄인다.
생각보다 단조로우면서도 어려운 4가지입니다. 아마도 실천을 한다면 하면서 엄청난 플랫라인을 마주칠 것입니다. 플랫라인은 지금까지 중독된 증상에 엄청난 도파민들이 분비되었는데 위의 행동을 실천하면서 도파민분비가 안 되니 도파민 가뭄이 일어나 다른 무언가를 해도 기분이 좋지 않고 항상 우울한 증상이 일어나는 기간을 플랫라인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이 담배를 끊지 못 거나 마약을 끊지 못하거나 도박을 끊지 못하거나 알코올을 끊지 못하는 이유가 이 플랫라인기간에서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계속 그 행위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제 대표적인 플랫라인증상과 플랫라인기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외로움
2. 우울증
3. 자살충동
4. 불안감
5. 강박증
6. 피로악화
7. 화가 많아짐(과민성)
이와 같은 증상이 있으며 기간은 일반적으로 내가 다짐한 날부터~3일, 2주~3주 , 8주~10주 정도에 확 밀려오고 작심삼일이라는 사자성어에 맞게 대부분 일주일을 넘기지 못하고 실패하게 됩니다. 하지만 진짜 위기는 첫째 달 마지막이나 두 번째 달 마지막에 오기 때문에 실천하시고 싶은 신 분들께서는 굳은 마음다짐을 하시고 실천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플랫라인을 버티는 과정과 그 이후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유 중 하나가 취미생활로 플랫라인 극복을 위해 중독된 무언가를 잊으려고 글을 쓰는 것도 있습니다. 중독된 행동을 할 시간에 글을 쓰려고 자료를 찾고 무언가를 하다 보면 그 행위는 잊어버리고 글 쓰는 제 모습에 대한 자존감도 높아졌습니다. 무엇보다 이런 몰두할 수 있는 행동이 플랫라인을 버틸 수 있는 근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플랫라인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추천드리는 것은 저와 같이 취미생활을 만들거나 운동, 명상(윔호프호흡법), 좋아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약 90~120일 정도의 플랫라인을 버티게 되면 한껏 성장한 나 자신을 볼 수 있게 될 것이고 21세기에서 이런 과정을 버틸 수 있는 사람과 버티지 못하는 사람의 격차는 엄청나게 벌어질 것입니다.
<제가 추천하는 윔호프 호흡법>
윔호프 호흡법 제대로 하는법과 후기 !!
오늘은 먼역력을 높이는 윔호프 호흡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윔호프 호흡법을 알기전에는 가끔 일반 명상음악을 틀어놓고 15~30분정도 명상을 했습니다. 명상을하고난후 마음이 평온해
hathaway0707.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우리는 도파민 관리를 꼭 해야할까? 2편 (0) | 2023.01.25 |
---|---|
브레인포그가 일어날때 어떻게 해야할까? (2) | 2023.01.21 |
충분한 수면의 중요성 (0) | 2022.12.29 |
윔호프 호흡법 제대로 하는법과 후기 !! (0) | 2022.12.27 |
간헐적 단식 후기 (1) | 2022.12.26 |